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 제정에 따른 댐 내진성능 검토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 제정에 따른 댐 내진성능 검토
학술지명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저자 조성배,김남룡
발표일 2017-09-15

댐과 같은 수자원시설의 지진에 의한 손상은 급격한 수재해를 유발하여 인명, 재산피해의 원인이 되며, 특히 지진에 의한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물 공급 기능의 상실은 신속한 재해복구에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댐의 내진성능 확보와 유지관리는 사회 ?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2017년 현재 국내 댐의 내진설계와 내진성능평가는 2011년 개정된 댐 설계기준[1]이 명시하는 바에 따른다. 현행 기준은 높이 45m 이상이고 총 저수용량 50백만m3 이상, 또는 다목적 댐과 같이 사회 ? 경제적으로 중요한 댐을 내진특등급으로, 그 외의 모든 댐은 내진Ι등급으로 분류한다. 댐의 내진등급별 지진위험도계수는 타 시설과 달리 내진특등급, 내진 I 등급에 대하여 각각 재현주기 1000년(위험도계수 1.4), 500년(위험도계수 1.0)을 적용하고 있다. 댐의 내진성능은 지진계수를 적용하여 정역학적으로 평가하는 진도법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시간이력해석을 활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내진특등급 및 내진Ⅰ등급에 대하여 각각 위험도계수 2.0 및 1.4로 할증하여 적용하고 있다. 
  2017년 고시된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국민안전처, 2017)은 크게 1) 새로운 지반분류체계, 2) 설계지반운동 특성표현 방법, 3) 내진성능수준 분류체계의 세분화, 4) 시설물의 내진등급별 내진성능수준 체계 등을 중심으로 개정되었다. 해당 사항을 현행 댐 설계기준에 적용하면 1) 기존 상위개념에서의 내진등급과 달리 적용되었던 위험도계수(재현주기)가 공통적용사항과 일치하게 되며, 2) 내진설계 또는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설계지반운동특성이 명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제정된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이 시설물 관리 및 내진성능평가 실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입력지진하중 특성에 따른 댐의 지진응답거동을 2차원 유한차분해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