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막여과 전처리 및 배출수 동시 처리 가능한 정수처리공정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막여과 전처리 및 배출수 동시 처리 가능한 정수처리공정
학술지명 2017 공동학술발표회 저자 권순범,유영범,박영무,김충환
발표일 2017-03-23

두 공정에 적용된 막여과 성능을 비교한 결과 막여과 운영 이후 첫 200시간까지는 조류의 유입이 없음에 따라 혼화/응집-막여과 공정과 혼화/응집-개량형 용존공기부상-막여과 공정과의 성능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막여과 운영 200시간이 지난 이후로는 고농도 조류의 유입(Chl-a : 평균 15mg/m3)이 진행되었고, 이때 혼화/응집-막여과 공정의 TMP가 급격하게 높아진 반면 개량형 용존공기부상을 이용한 막여과 공정은 안정적인 TMP를 나타내었다(Fig. 1.). 조류의 유입 시 오염물을 전처리 시설에서 근본적으로 제거하지 못한다면, 막 면에 부착된 점성질의 조류물질에 의해 급격한 막오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사실로 미루어 볼 때 개량형 용존공기부상-막여과 공정이 조류의 제거에 적합한 공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기술은 별도의 배출수 처리시설(침지막, 섬유상여과기 등)추가 없이 약 1년간 연속운영을 통해 최대 99% 의 회수율을 가지면서도 안정적인 운영 TMP를 유지하였다
다양한 원수수질에 대응 가능한 정수처리공정 및 막배출수 회수를 통한 고회수율 구현이 가능한 정수처리 공정으로 효율평가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본 공정은 간이침전/용존공기부상(DAF)-MF막여과를 연계한 정수처리 공정으로 고농도의 조류 유입 시 용존 공기를 통해 조류를 부상제거하고, 공기부상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고침강성 물질들의 유입 시 간이침전조에서 침강처리 함에 따라 다양한 원수수질 변화에도 안정적인 막여과 시스템 운영 및 처리수질의 확보가 가능하다. 침전이 불량한 막배출수를 전처리 시설로 회수하여 용존공기부상법으로 재처리함으로써 막배출수 처리문제 해결 및 고회수율 MF 막여과 공정기술을 구축하여 수자원 낭비 최소화가 가능하다. 용존공기부상-막여과 결합공정을 도입함에 따라 좁은 면적에서도 기존 침전지와 대등한 처리수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슬러지 저배출형 공정을 구현함으로써 배출수 처리시설의 생략이 가능하여 정수처리 시설의 컴팩트화 및 집적화가 가능한 막여과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