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LCD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불산폐수 처리를 위한 최적 운영조건 도출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LCD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불산폐수 처리를 위한 최적 운영조건 도출 연구
학술지명 2017 공동학술발표회 저자 김종민,김지연,이선주,김병수,서인석,이영주,임승순
발표일 2017-03-23

차 반응으로 Ca2+를 300 mg/L에서 1600 mg/L까지 변화시키며 최적 Ca2+ 주입량을 산정하였다. F- 제거효율은 Ca2+ 주입량 300 mg/L, 500 mg/L에서 79%, 700 mg/L, 800 mg/L에서 90%, 900 mg/L 이상에서는 92%로 거의 동일하였다. 또한 반응에 참여한 Ca2+ 농도는 Ca2+ 주입량과 대비하였을 때, 900 mg/L 이상에서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Fig. 1 (A)).  따라서 Ca2+ 농도를 900 mg/L 이상 주입하였을 때 제거효율이 작게 증가하긴 하지만 경제성을 고려하여 1차 반응으로 Ca2+를 900 mg/L로 주입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Ca2+의 용해도를 낮추기 위해 1차 반응으로 산정된 Ca2+ 900 mg/L를 주입하고 2차 반응으로 Al3+농도를 20 mg/L에서 50 mg/L까지 변화시키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Al3+농도 20 mg/L, 30 mg/L, 40 mg/L, 50 mg/L에서 F- 제거효율은 24%, 39%, 40%, 39%로 나타났으며, 제거효율은 30 mg/L 이상의 농도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Fig. 1 (B)). 따라서 2차 반응의 Al3+ 주입량은 30 mg/L가 최적으로 판단되지만, 2차 반응이후에도 불소가 방류수 수질기준 이하로 처리되지 않는 데이터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3차 반응으로 불소제거를 위한 보조제를 투입하여 처리하는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