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무방류 역방향 다기능 세척 기술 개발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무방류 역방향 다기능 세척 기술 개발
학술지명 한국지반환경공학회 저자 배철호,김지연,김정현,이선주
발표일 2016-09-23

상수관망에 대한 세척은 상수관망 수질 유지관리를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으로 인식이 되고 있으나, 세척이 많아지게 되면 그 만큼 세척과정 중에 상당히 많은 정수를 세척수로 사용하게 된다. 즉 많은 비용과 과정을 거쳐 생산된 수돗물이 손실이 되게 된다. 현재 선진국에서는 나라 도시마다 다르나 년간 생산량 중에 0.1~0.25%을 세척수로 활용하고 있을 만큼 많은 양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세척과정 중에는 그간 관로 내 축적된 침전물들이 세척수와 함께 방류되는데, 이러한 세척방류수는 많은 중금속과 미생물이 포함된 탁수일 수 있으며, 특히 정수가 세척수로 사용되므로 잔류염소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세척 방류수는 결국 우수관거를 통하여 하천으로 유입이 되게 된다. 따라서 하천 규모에 따라서는 방류되는 세척수로 인해 하천수질이나 생태계가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최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세척방류수에 대한 기준을 강화하려고 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세척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세척 방류수에 대한 기준이나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관로의 세척으로 발생되는 정수손실과 하천수질 또는 주변 상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예방하고, 강화되고 있는 세척 방류수에 대한 처리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수관로 무방류 다기능 관 세척(고유속, 공기주입, 스와빙 피그 세척 등) 장비를 개발하였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무방류 다기능 관 세척 장비는 크게 세척수 정화장치, 세척수 무방류 순환장치, 그리고 관 내부 상태에 따라 공기주입 또는 스와빙 피그 세척을 위한 부속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척수 정화장치에는 5 또는 1 마이크로의 bag filter가 8개가 설치되어 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