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소옥천 하류(추소리)에서 녹조현상 경감기술의 현장시험적용 및 효과비교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소옥천 하류(추소리)에서 녹조현상 경감기술의 현장시험적용 및 효과비교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신재기,노준우,김종명,황순진,김영성
발표일 2016-11-15

본 연구는 2014년 6월 27일부터 8월 24일까지 대청호의 소옥천(추소리) 하류에서 녹조현상 경감기술을 시험하기 위하여 중점 수행되었다. 그리고 그 효과는 테스트베드 구간 뿐만 아니라 조류경보제 관찰지점의 주간 모니터링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테스트베드에서 녹조현상은 상류에서부터 시작하였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수문학적 요인에 의해 하류로 이송 및 확산되었다. 녹조제거장치의 시험적용 동안, 조류를 제거한 총량은 33,920 kg이었고, 이것을 자연중력에 의해 탈수시킨 고형물은 8,480 kg이었다. 또한, Chlorophyll-a 함량은 2.83 kg이었고, 남조류의 세포수로 환산하면 78.6×1014 cells에 해당하였다. 조류경보제 관찰지점의 결과와 비교할 때, 대발생 수역에서 사전 집중제거는 녹조현상 완화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녹조현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적 발생 정보와 실용적 장치기술의 확보가 가장 우선되어야 하겠다. 특히 하천-저수지 hybrid 구간에서 녹조 제거의 최적 시기는 장마 이전과 최저 수위에 도달하였을 때로 볼 수 있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