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지하수 희토류 함량 분포 특성 |
---|
학술지명 (사)한국환경분석학회
저자 김윤석,최재원,이정엽,김정희
발표일 2016-11-03
|
희토류(Rare earth elements)는 원자번호 57번 란탄부터 71번 루테늄까지의 란탄족과, 21번 스칸듐, 39번 이트륨 등 17종의 희귀 금속원소를 지칭하며, 화학적 성질의 안정성과, 높은 전도율, 뛰어난 전기적·자성적 특성 때문에 친환경 분야와 스마트폰, LCD, 전지, 전기·하이브리드 자동차, 기계류 등에 폭넓게 쓰이지만, 글로벌 수요량의 계속적인 증가에 비해 희소성과, 전 세계 매장량의 36%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자원무기화로 안정적인 자원 수급을 보장 받을 수 없다. 그러나, 한편으로 한반도에도 상당량의 희토류가 매장 되어있다는 보고에 의해, 본 연구는 2014년 상?하반기 와 2016년 상반기까지 총 5회 전국 지하수를 대상으로 수리지구화학적 거동특성에 기인한 희토류에 대한 정밀함량분포특성을 나타내었다. 분석용 시료는 0.45 μm 막필터 한 후 100 mL Polyethylene bottle에 담았으며 공침과 흡착을 막기 위해 Ultra pure질산 0.1 mL를 첨가하였고 분석기기는 NexION 350D ICP/MS (Perkin Elmer)로 Torch Alignment, QID AutoLens Calibration, Neb Gas Flow, Daily Performance Check 등에 대해 Tuning을 통하여 기기분석의 최적 조건으로 조정한 후 검량선을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 희토류 항목에 대한 분포특성에 대해 고찰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