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수자원 개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수자원 개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학술지명 한국지역개발학회 저자 박임수,김민영,최한주
발표일 2016-11-12

전 세계적으로 극심한 가뭄과 폭우 등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수자원의 인프라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물 수요가 증가하고 삶의 수준이 향상되면서 물산업 인프라에 대한 시설확충, 재정적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 물산업의 규모가 커지고 산업적으로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지만 산업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국제적으로 물 산업의 범위를 물 공급과 관련된 정비, 수력발전 등의 사업뿐만 아니라 하천 및 유역을 포함한 생태, 해수담수화, 대체수자원개발 등으로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수자원개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그 범위를 정의하는 것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력?가스 및 수도 부문에서 ‘수도(광역상수도 및 댐용수 포함)’, 건설 부문에서 ‘하천사방’, ‘상하수도 시설’을 구분하여 수자원 및 수도 산업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수자원개발이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1975년, 1985년, 1995년, 2005년, 2014년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산업연관표 기본분류를 기준으로 30개 산업과 수자원개발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수자원 및 수도 분야 3개 산업(수도, 하천사방, 상하수도시설)으로 분류하여 총 33개 산업으로 재분류하였다. 재분류된 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수자원 및 수도 산업의 통계를 파악하고 수자원 개발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계량적으로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