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적 기반 수문모형의 이수기 적용을 위한 적합성 검정 |
---|
학술지명 KSCE 2016 Convention
저자 박진혁,김정민,허영택,황만하,장수형
발표일 2016-10-21
|
OECD(2008) ‘2030 환경전망보고서’에 따르면 온실가수 배출 상황이 현재와 같은 상태를 유지했을 경우, 그 배출량은 2030년까지 37%, 2050년까지 52% 증가하고 이로 인한 이상 기후 현상과 물 부족으로 인류의 극한 생존 경쟁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강우 발생 시기와 패턴이 변화하면서 물순환 특성이 변화하고 있으며 물 순환의 핵심요소인 유출량은 인간생활(이수/치수/환경)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CRIK, 2011). 특히, 우라나라는 연평균 강수량이 여름에 집중되고 지형적 요소로 인해 수자원 이용에 어려움이 많다. 이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 넓은 지역에 발생하는 가뭄에 대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대책 수립이 필요하며 그 방법 중 하나가 모형의 활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