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강댐 버들류 분포 현황과 고사체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연구 |
---|
학술지명 한국습지학회
저자 김호준,이요상
발표일 2016-10-24
|
버드나무속(Genus Salix)식물은 4-5월경에 많은 종자를 생산하여 종모에 의해 산포된다. 자연상태에서 종자 발아율이 높기 때문에 저수지 및 하천의 토양 수분이 높은 곳에서 짧은기간내에 대규모 군락을 형성한다. 남강댐은 1969년 축조되어 용수 수요확대 및 홍수발생 피해 저감을 위해 1999년에 보강 공사가 완료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남강댐 유입지천을 중심으로 보강공사 이후에 이입된 버들류가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최근까지 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운영에 따른 수위변동으로 버들류가 고사되어 분해되면서 용출되는 영양염류가 남강댐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중에서 버드나무의 영양염류 용출은 대부분 표피에서 발생하므로 수목의 표면적을 이용하여 단위면적당 용출량을 산정하였다. 총인(TP)기준으로 용출율은 5.93mgP/m2·day로 하여, 전체 고사체면적을 조사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남강댐 전체 수역 및 고사체 인근 수체에서 인농도 상승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