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GloSea5 모델의 자료처리 시스템 구축 및 시·공간적 재현성 평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GloSea5 모델의 자료처리 시스템 구축 및 시·공간적 재현성 평가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문수진,한수희,송정현,최광순
발표일 2016-09-30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제공하는 전지구 계절예측시스템 GloSea5 (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version 5)자료를 활용하여 용담댐유역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GloSea5는 예측자료 (Forecast; 이하 FCST)와 과거재현자료 (Hindcast; 이하 HCST)로 제공되며 공간 수평해상도는 N216 (0.83°x 0.56°)으로 중위도에서 약 60km이다. 이를 유역단위 물관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상세화가 필요하므로 통계적 상세화 기법을 수행하여 변수가 갖는 계통적인 지역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자료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HCST자료는 앙상블 형태로 주어지며 용담댐 유역의 앙상블 평균에 대한 6번 격자의 통계적인 상관성 (R2= 0.60, RMSE=88.92, NSE=0.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계절분석 시 여름철의 경우 원시 GloSea5 강우량이 600.1mm로 관측값인 816.1mm 대비 ?26.5%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상세화 후 GloSea5 강우량은 ?3.1%의 오차율을 보였다. 대부분의 과소 모의된 결과가 여름철 홍수기에 해당되는 강우로 상세화 이후 강우가 회복되는 매우 중요한 결과를 보였다. 계절별 Moran’s I 지수를 이용한 공간적 자기상관분석 결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공간적인 분포를 나타냄으로써 자료의 불확실성을 개선하고 시?공간적인 정확도와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HCST기간에 대한 GloSea5의 앙상블 강우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수문학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서의 충분한 가능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러한 시공간적인 재현성에 대한 평가결과는 향후 유역단위 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