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수질 및 생태환경을 고려한 금강-보령댐 도수로의 운영방안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수질 및 생태환경을 고려한 금강-보령댐 도수로의 운영방안
학술지명 스마트워터그리드워터학회 저자 이승윤,김동섭,최광순,정선아,김호준
발표일 2016-05-11

2015년40년만의 기록적인 가뭄으로 충남 서북부지역 8개 시·군에 용수를 공급하는 보령댐의 저수량이 22.8%로 역대 최저를 기록하였다. 이에 정부는 댐 저수량 확보를 위해 금강 백제보 하류와 보령호 구간 22km 를 연결하여 일 115,000㎥을  공급하는 도수로사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금강 원수와 보령호 간의 수질 차이로 인해 수생태 보호 및 수질확보 측면에서 논란이 되었으며, 이에 디스크필터, 폭기, 제올라이트 등 전처리 시설을 포함하여 사업이 추진되었다. 본 연구는 금강원수의 도수유입시 보령호 내에서의 수체거동을 분석하고 수질변화를 예측함으로서 사전예방적 대응책 수립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또한 도수로 운영시기별로 예상 가능한 수질 및 생태영향을 모의하여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도수로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적용된 모형은 3차원 ELCOM-CAEDYM과 2차원 CE-QUAL-W2 이었으며 가뭄단계에 따른 도수로 운영과 보령댐 월별 빈도유입량을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모델링 결과 갈수기인 12, 1, 2월에 도수로를 운영할 경우 수질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농도변화가 큰 항목으로서는 NH3-N가 월평균 최대 댐 앞지점에서 0.118mg/L, 웅천천 유입부에서 0.508mg/L로 예측되었고, T-P는 댐 앞 0.021, 웅천천 유입부 0.035mg/L 로 예측되었다. 도수량 측면에서는 3, 4, 5, 6, 11월의 경우 점진적 증가공급 등의 방법으로 탄력적 운영시 수질 및 생태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뭄 극복을 위해 국내 최초로 도입된 금강-보령댐 도수로의 효율적 운영관리 방안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