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상수도 관로 정밀진단을 위한 비파괴 기술 활용 방안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상수도 관로 정밀진단을 위한 비파괴 기술 활용 방안
학술지명 한국지반환경공학회 저자 이선주,최태호,김경필,김정현,배철호
발표일 2016-09-23

광역상수관로 등 대규모 용수공급관로에 대한 비파괴 정밀진단과 구조적 운영감시 시스템의 첨단고도화를 위해, 가스,송유,원자력 배관에 대한 주요 관종, 관 내부상태, 사전탐상, 비파괴 이동탐상 장비 전처리 공정, 비파괴 주요 측정항목, 구조적인 운영감시 등의 비교를 통해, 대규모 용수공급관로에 필요한 기술을 도출하여 관내면 첨단 지능형 비파괴 정밀진단기술, 관외면 정밀진단 자동화 기술, 비파괴 종합적 성능평가 기술, 구조적 상태감시?예측 고도화기술 등 4개 중점분야 과제를 도출하였다.
주요 기술에 대한 개발방향을 설정하였는데, 용수공급 관로 범위는 단선관로이면서 사고발생시 면적, 공간적인 피해 규모가 막대한 관로로 제한하여 배수지 이후 배수본관, 지관, 급수관을 제외한 도?송수?공업용수관로로 설정하였다. 도?송수?공업용수관로에 주로 사용되는 관종은 내외면 도복장강관(45%)과 주철관종(46%)이므로 강관과 주철관종을 대상관종으로 하고, K-water, 서울, 부산 등 특?광역시의 도?송수공업용수의 관경범위를 고려하여 내외면도복장강관은 600∼1,500 mm, 대표관경 1,000 mm, 주철관종의 경우에는 300∼1,000 mm로 대표관경은 500 mm로 설정하였다.  
관내면 비파괴 정밀탐상 장비의 작업능력은, 도?송수?공업용수관로의 제수밸브 평균 이격거리(1.5 km, K-water)를 고려하여 연속적인 측정인 가능한 거리인 최소 1.0 km 이상을 측정거리로 설정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