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RO 농축폐수의 펜톤산화 최적 반응조건에 관한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RO 농축폐수의 펜톤산화 최적 반응조건에 관한 연구
학술지명 한국지반환경공학회 저자 김지연,이선주,김유경,서인석
발표일 2016-09-23

우리나라는 하천에서의 취수율이 높아 가뭄 시 물이 부족하다는 점과 수질오염으로 인한 사용 가능한 물이 줄어들면서 물 재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맞춰 산업 용수 및 하수재이용에 의한 공업용수 시장이 확대되었으며 역삼투막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 때 발생하는 역삼투막(RO) 농축폐수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다량 포함한다는 점, 원수대비 3~10배 높다는 점이 특징이다. 펜톤산화는 고도산화기술 중 하나로 생성되는 OH 라디칼을 이용하여 폐수 내 오염물질을 산화 및 제거할 수 있다. 주로 제지폐수, 염색폐수 등 난분해성 유기물질이 고농도로 함유된 산업폐수의 처리에 일부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RO 농축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해 펜톤산화를 적용하였으며,  약품투입량, 반응시간 등의 운전 조건에 따른 유기물 처리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 시료는 순수급 공업용수 생산시설에서 발생되는 RO 농축폐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반응인자는 pH (2~4), 과산화수소 주입량 (50~1000mg/L), 철염 주입량 (500~1500mg/L), 반응시간(30~120min)으로 각 인자들을 바꿔가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원폐수 및 처리수의 분석은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주 분석 항목으로 설정하여 유기물 제거 효율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펜톤산화의 최적 pH는 3으로 확인되었으며 과산화수소 주입량은 500mg/L, 2가 철염 주입량은 500mg/L, 반응시간은 1시간으로 최적 조건에서의 유기물 제거효율은 약 50%이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pilot 장치 실험이 후속 연구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