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다목적댐 저수지의 가뭄특성 및 운영현황 분석 -낙동강 수계를 중심으로-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다목적댐 저수지의 가뭄특성 및 운영현황 분석 -낙동강 수계를 중심으로-
학술지명 스마트워터그리드학회 춘계학술대회 저자 장수형,황만하,강현웅,박진혁,김정민
발표일 2016-05-11

국내의 경우, 홍수기에 전체 강우의 약 2/3가 집중되고 하천유량변동이 심해 댐을 통한 저류 및 방류의 조절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가뭄발생이 빈번해 짐에 따라 안정적인 댐 용수공급에 어려움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의 대상 유역인 낙동강 지역의 경우, 타 지역에 비해 평균강수량이 적고, 최근 가뭄 시 제한급수 피해 인구가 낙동강 유역 인구대비 ‘94년도(64.7%), ‘01년도(32.1%), ‘08년도(46.8%)를 기록할 정도로 가뭄 피해가 크게 나타나는 취약지역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뭄 발생 시 댐 용수부족에 대비하여 신속한 댐의 용수공급량을 조정하고 비축 가능한 대응기준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로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한 다목적댐 저수지의 가뭄특성 및 운영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전체 댐 공급량의 약95%를 차지하고 있는 5개의 댐(안동, 임하, 합천, 남강, 밀양)을 중심으로 다목적댐 건설 전·후의 강수량, 유입량, 유출률의 특성변화 분석과 다목적댐 건설 전·후 연간 및 계절별 유입량 경향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다목적댐의 가뭄특성 및 가뭄 발생 시 운영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가뭄대응 저수지 운영 기준(국가안전관리세부집행계획, 2014) 설정 시 문제점 파악과 개선 방향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기후변화 및 극한가뭄 대응 저수지 운영 기준 설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