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전국 주요 수계별 지표수 미네랄 특성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전국 주요 수계별 지표수 미네랄 특성 연구
학술지명 SWG학회 저자 이정엽,송대성,김정희,이종수
발표일 2016-05-11

최근들어 건강한 먹는물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지역별 먹는물 미네랄 함량과 성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소규모 지자체 대상 연구로 한정되어 있어 지역간의 직접적인 비교와 활용에 한계를 보였다. 
 이에 전국 98개 국가수질측정망 중권역 대표지점 지표수(하천수, 호소수) 시료를 대상으로 미네랄, 주요 양이온, 음이온, 그리고 TOC 등의 기초수질항목을 함께 분석하였다.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등의 주요미네랄을 포함한 필수미네랄, 기타 미량미네랄 등 68종의 미네랄을 분석하는 한편, 조사대상 관측망을 하천수와 호소수, 그리고 세부수계별(8개 수계)로 분류하여 SPS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미네랄 함량과의 상관성을 조사했다.
하천수와 호소수를 비교해본 결과 주요미네랄 총량 평균은 하천수 45.8 mg/L, 호소수 29.4mg/L로 약 1.6배의 차이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수계를 북한강, 남한강,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 등 8개로 나눈 후 주요미네랄(Ca, Mg, Na, K) 총량을 비교해보면 영산강이 72.7 mg/L로 가장 높았고, 북한강이 25.7 mg/L로 가장 낮았다. 수계별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북한강, 섬진강] 그룹과 [남한강, 낙동강, 영산강] 그룹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미네랄 항목별로 살펴보면 낙동강은 B, 한강은 Sb, 영산강은 Na, K, Cl?, 제주도는 Mg, Si, V, Rb이 유의미하게 다량 검출되었다.
주요 수계와 특정 미네랄과의 높은 상관성에 대한 원인 분석은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