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수돗물 맛냄새평가 기법 개선 방안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수돗물 맛냄새평가 기법 개선 방안
학술지명 SWG학회 저자 김대현,김진영,송상진,허준
발표일 2016-05-11

K-water에서는 국민들에게 건강하고 맛있는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2004년부터 광역 정수장을 대상으로 맛·냄새평가를 진행해왔다.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2013. 11)에서의 맛과 냄새 항목은 묘사나 정량, 강도 등의 평가가 불가능하고 단순히 맛과 냄새의 유무만을 측정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시료의 정성·정량 평가가 어려웠다..
이에 K-water에서는 미국 Standard Method에서 먹는물의 맛과 냄새를 다각적으로 평가하는 FPA(Flavor Profile Analysis)기법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패널을 훈련시켰다. 또한, 대표적인 맛·냄새의 종류와 강도를 결정하여 시료를 정성·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FPA방법은 맛·냄새평가 전문 패널 선정 및 훈련, 평가 준비, 데이터 해석 등에 전문성이 결과 활용 이상으로 요구되어 정수장 등 현장에서의 직접적인 활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미국수도협회의 ART(Attribute Rating Test)기법을 고안하여 K-water의 현실에 맞게 최적화시켜 변경·적용하였다.
ART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1)산재해 있는 관능 평가기법을 여러 가지 목적에 따라 비교·정리하고, 2)수돗물에서 흔히 발생하는 맛·냄새물질(3가지 냄새, 4가지 기본 맛)을 선정하여 훈련된 패널을 이용해 60 % 이상의 평가대상 인원이 감지한 수준을 최소감지농도로 설정하였다.
그 후 ART 방법의 간편한 운영, 비교적 단순한 패널 훈련 및 객관적인 데이터 생산이라는 장점에 최소감지농도를 기준으로 접목시켜 정수장 등 현장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개선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