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사력댐 지진응답특성의 실험적 평가 |
---|
학술지명 한국지진공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저자 김남룡
발표일 2016-03-18
|
다목적댐과 같은 중요 대형 사회기반시설은 그 특성상 대규모 자연재해에 의한 손상과 붕괴가 발생할 경우 막대한 인명, 재산피해를 유발하며, 용수공급과 전력생산의 차질과 같은 부가적인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필댐(embankment dam)은 지진에 비교적 안전한 구조물로 인식되었으나, 2008년 중국 Wenchuan 지진, 2011년 동일본대지진 등에 의한 대형 댐의 손상과 파괴 사례는 댐의 내진성능의 중요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지진에 의한 필댐의 손상은 사면활동, 심벽부의 균열, 과도한 침하, 재료의 액상화 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국내 현행 댐 설계기준(국토교통부, 2011)에서는 진도법에 의한 댐의 내진설계 또는 내진성능평가를 근간으로 규정하고 있다. 대형 댐과 같은 특수한 경우, 동해석의 필요성을 명시하고 있으며, 최근 해석기술의 진보와 상용 소프트웨어의 발달에 힘입어 내진설계와 정밀안전진단 분야의 건설공학 실무에서는 동해석이 보편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