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댐 하류 하천 유사관리 환경을 고려한 친환경댐 건설사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댐 하류 하천 유사관리 환경을 고려한 친환경댐 건설사례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박정수,강기호,이상종,이희숙
발표일 2016-02-17

하천의 유사는 주로 작은 입자로 구성되어 물에 부유한 상태로 이동되는 부유사(suspended load)와 상대적으로 큰입자가 하천 바닥을 따라 이동하는 소류사(bed load)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부유사와 소류사의 이동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며 유역내 강수량, 하천유량, 지형 등 다양한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하천의 수질·생태환경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홍수기 부유사에 의해 발생되는 고탁수는 정수장 등에서 수처리비용이 증가되는 원인이 되며, 어류 서식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산란된 알의 표면을 덮어 질식을 일으키기도 한다. 홍수 말기에 유량이 감소하면서 부유사가 하상에 퇴적되거나 자갈하천의 공극 등을 매우면 하상 저서생물의 서식환경에 영향을 미쳐 담수생태계의 먹이사슬에 변화를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하천에서의 부유사는 부영양화의 주요한 원인의 하나인 인(phosphorous)의 이동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하천의 수질·생태환경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유사의 관리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댐이 건설되면, 하류에 공급되는 유사를 차단하게 되며 이로 인해 하류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난 2009년 착공한 영주다목적댐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모래하천인 내성천에 건설되며, 댐 건설이후 하천의 유사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유사조절지와 배사문이 설치되어 운영될 예정이다. 또한 영주다목적댐 하류에는 댐 직하류 하상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3개소의 자연형 하상보호공이 지난 2014년부터 설치되어 운영중에 있으며, 2014년부터 홍수기 전·후 시행된 하상측량결과 하상보호공 설치 이후 주변 하상이 안정화 되는 경향을 보였다. 댐이 완공된 이후에는 지자체 등 관련기관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하류 하천의 환경을 고려한 안정적인 유사관리를 위한 댐운영 방안을 지속적으로 수립해나갈 예정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