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낙동강 수계 이취미 물질의 발생특성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낙동강 수계 이취미 물질의 발생특성 분석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이희숙,박연정,김민재,정선아
발표일 2016-02-17

본 연구는 낙동강 8개 보지점의 이화학적인 요인과 식물플랑크톤, 이취미물질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채수는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낙동강 8개 보지점에서 월별 1-4회 채집하였다. 조류 발생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인산염인, 이산화규소를 조사하였다. 또한 조류 발생량을 알아보기 위해 클로로필 a와 조류개체수를 분석하였고 이취미물질의 변화를 파악하기위해 Geosmin, 2-MIB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암모니아성질소는 0.01~0.52 mg/L(평균 0.08 mg/L), 질산성질소는 0.26~2.94 mg/L(평균 1.16 m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인산염인은 0~0.150 mg/L(평균 0.025 mg/L)의 범위를 보였다. 이산화규소는 0~3.70 mg/L(평균 1.36 m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조류개체수는 375~262,040 mg/L(평균 17,159 mg/L)로 출현하였다. 2-MIB는 0~0.135 μg/L(평균 0.021μ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Geosmin은 0~0.244 μg/L(평균 0.010 μg/L)로 검출되었다. 이화학적 결과는 다른 시기와 비교하여 7월에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며 클로로필 a와 조류개체수는 8~9월에 높은 값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eosmin이 6월에 높게 검출 된 것은 칠곡보에 출현한 남조류 Anabaena 속의 영향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낙동강 조류와 이취미물질 발생간의 상호관계를 정량화하기 위해 이화학적인 요인과 조류, 이취미물질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