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수질·생태환경을 고려한 유사관리의 중요성 및 하천 유사이동 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수질·생태환경을 고려한 유사관리의 중요성 및 하천 유사이동 특성
학술지명 한국물환경학회 저자 박정수
발표일 2016-03-24

  하천을 이동하는 유사는 상대적으로 큰 입자로 구성되어 하천 바닥을 구르거나 튀면서 이동하는 소류사(Bed load)와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입자들로 구성되어 하천을 이동하는 부유사(Suspended load)로 구분된다. 유역 및 하천내 유사의 이동은 유역의 수리·수문학적 특성, 식생, 하상특성 및 기후 등 자연적 요인과, 건설공사, 벌목 등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다양한 영향을 받게 된다. 이중 특히 부유사 혹은 미세유사(fine sediment)는 홍수 등에 의해 하천으로 유입되어 이동하다가 홍수기 말기 유량이 감소되면서 하천 바닥에 퇴적되며 다음 홍수기에 다시 부유하여 이동하는 등 수체와 하상을 이동하며 수질 및 생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하천의 수질 및 생태 환경관리를 위해서는 부유사 혹은 미세유사의 관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유사이동 특성을 파악하고 이송량을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과 모델 등이 개발되어 왔으나, 여러 가지 환경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유사이동의 특성을 정확히 예측하기에는 아직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하천에서 부유사량(suspended load)의 측정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반면 유량의 측정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따라서 유량과 유사량의 상관관계를 구한 후 유량측정값을 통해 유사량을 추정하는 유량-유사량 관계곡선법(Power law, Qs=aQb where Qs[M/T]: 유사량, Q[L3/T]: 유량, a,b: 경험계수])이 하천의 유사량 추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부유사량은 유량 뿐 아니라 하천의 다양한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같은 지점 같은 유량조건에서 이송되는 부유사량도 시기에 따라 수배에서 수십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기도 해 유량-유사량 관계식을 이용한 부유사량의 추정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많은 자연하천의 유량-유사량 관계에서 하천 유량이 일정값 이상 증가하게 되면 급격한 유사량의 증가가 관찰되며, 이러한 하천에서 단순히 1가지 유량-유사량 관계식을 이용해 유사량을 예측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하천 환경관리를 위한 유사이동 특성의 파악을 위해서는 실측을 통해 충분한 자료를 축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량-유사량 관계곡선의 한계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개선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