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우즈베키스탄 Charvak 댐 유역의 다양한 수문 기초자료를 웹사이트를 통하여 수집하고 유출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대상유역의 유출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Charvak 댐 유역은 우즈베키스탄 북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 9,929km2, 평균해발고도 2,585m, 최고해발고도 4,285m로 고고도유역이다.
대상유역이 미계측 유역인 점을 고려하여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K-DRUM 모형을 이용하였다. K-DRUM 모형은 물리적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장단기 강우유출, 증발산 및 융적설, 유사량 분석 등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모형의 입력자료는 기상정보, 수치표고도, 토지피복도, 토양종류도, 토심도가 필요하다. 기상정보는 NOAA(https://www.ncdc.noaa.gov)에서 제공 받았고, 수치표고도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직접 제공받았으며 토지피복도는 ISCGM(https://www.iscgm.org)에서 제공 받았다. 토양종류도와 토심도는 자료를 확보하기 어려워 임의로 중간값을 적용하였다.
대상유역에 대하여 유역내 위치한 Pskem 관측소의 1992년 1년간 일단위 강우 및 기상정보를 적용하고 융적설 기능과 증발산 기능을 활용하여 유출분석을 수행한 결과, 연간 유출량의 대부분이 여름철에 집중되며 강우에 따른 직접 유출 보다는 기온변화에 따른 융설과 적설에 따른 유출이 지배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의유출량과 Charvak 댐의 관측유입량을 비교한 결과, 모의값이 관측값에 비해 다소 과소 추정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국외 미계측 유역의 경우에도 다양한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자료를 수집하고 물리적 분포형 모형을 활용한다면 대상 유역의 유출특성 파악과 보다 다양한 분석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