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구조물에 계측시스템을 구축하여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고, 필터링 과정을 거친 데이터를 재난 발생 예·경보 기준에 따라 안전도를 판정하는 기존의 댐구조물 실시간 안전도 평가 방법은 강우량 및 지반물성의 변화, 댐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과 같은 불확실성 요소들 때문에 평과 결과가 부정확한 경우가 많고, 계측기가 설치된 일부 제한된 범위의 결과이므로 구조물 전체의 전반적인 안전도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구조물의 정확하고 신속한 실시간 안전도 정보를 제공하여 재난발생 시 적절한 대응 및 복구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기 위해 수치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구조물 전체의 전반적인 안전도 경향을 파악하고, 원심모형실험을 통해 수치해석 방법과 기존 계측방법 사이 거동의 차이점을 보정하고 연관성을 확보함으로써, 여러 불확실성 요소(강우량, 지반물성)를 반영한 수치해석 및 계측기반의 통합 안전도 평가방법을 도입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사전연구로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필댐의 대표단면에 대한 2D 침투해석과 댐구조물 및 주변지반의 기하학적 형상을 반영한 3D 침투해석을 각각 수행하여 비교함으로써 댐구조물의 전반적인 침투 경향을 파악하였고, 해석결과 산정한 침투유량은 여러 불확실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계측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