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지역 퇴적분지 지하수위 상승 특성의 GIS 평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지역 퇴적분지 지하수위 상승 특성의 GIS 평가
학술지명 대한지질공학회 저자 신경희,장광수,김규범,배종섬
발표일 2015-11-09

근래에 들어 우리나라의 하천에서는 수공구조물의 건설과 정비사업으로 인한 수문환경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났으며 그로 인한 수변지역의 지하수 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하천수위의 변화는 인근 지하수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지하수위 상승으로 인한 습윤화 현상이나 지표 홍수의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며 지하수 재해를 유발하기도 하지만 풍부한 지하수 자원의 충족으로 인하여 원활한 지하수 관정 활용이나 강변여과수 개발량의 증가와 같은 유용한 이점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수위 상승으로 인한 ○○지역 퇴적분지 지하수위 상승 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GIS 시스템으로 평가하여 지하수 재해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한다.
지하수위 상승 특성 분석은 평가 알고리즘에 유의한 충적층의 두께, 표고와 하천수위의 차이,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의 차이, 토양특성 자료(배수등급, 표토토성, 심토토성, 수문학적토양군)를 활용하였다. 이들 GIS data를 100 m × 100 m Grid로 변환하여 비표준화된 판별함수에 적용?계산한 후 안전, 보통, 우려의 3가지 Type의 지하수위 상승 특성으로 평가하여 도시화하였다. 그 결과, ○○지역 하천 우안구역에서는 보통 Type으로 나타났고 이외 산지지역은 안전 Type으로 나타났으며 내륙분지 중간지점 일부 지역에서 우려 Type으로 나타났다. 하천 좌안구역에서는 하천구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보통 Type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지형표고 DEM자료를 최근 버전의 정밀 자료를 적용하고 인위적 지하수위 변화를 고려한다면 더욱 정밀한 평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