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oo지역 지표수-지하수 경계지역에서의 라돈농도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oo지역 지표수-지하수 경계지역에서의 라돈농도 분석
학술지명 대한지질학회 저자 김태형,김지욱,배종섬,김규범
발표일 2015-10-28

일반적으로 라돈은 반감기가 3.82일에 불과하여 지표수에서는 농도가 낮으며, 지질특성에 따라 다양하지만 지표수에 비하여 지하수에서는 라돈 농도값이 높게 나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라돈의 특성을 이용하여 지표수-지하수 경계지역에서의 상호작용 분석을 위해  oo지역에서 지표수와 지하수내 라돈의 평균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해당지역은 대하천변 충적분지이고 연구목적의 충적 지하수 관측정 4곳이 약 70 m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시료의 채취는 채수시 교란을 최소화하고 원하는 심도에서 채수하기 위하여 Discrete Interval Sampler를 사용하였다. 채수는 모든 관정의 지표하 8 m 지점에서 실시하였고 충적심도가 깊은 SJ-2에서는 2심도(지표하 16 m)를 추가로 채수하여 라돈농도를 측정하였다. 
 하천에서의 평균 라돈농도는 161pCi/L로 측정되었으며, 하천으로부터 제외지로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된 SJ-4 ~ SJ-1까지 설치된 지하수 관측정에서의 평균 라돈농도는 SJ-4(1,100pCi/L), SJ-3(496pCi/L), SJ-2(1심도 : 187pCi/L, 2심도 : 223pCi/L), SJ-1(351pCi/L)의 값을 나타내었다.  지표수로부터 거리가 가까우며 홍수터에 위치한 위치한 SJ-4지점에서 라돈 농도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SJ-2 지점의 1심도에서는 하천과 거의 유사한 라돈 농도값을 보였다. 또한, 유사한 시기(8월)에 지하수 관측정에서의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각 관측정에서의 온도는 SJ-4(15.3~15.9℃), SJ-3(13.9~18.0℃), SJ-2(15.1~17.3℃), SJ-1(13.1~13.4℃)로 대체적으로 하천에서 멀수록 지하수의 온도가 낮은 것으로 관측되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