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유역-수질 모델을 연계한 홍수조절댐 수질 예측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유역-수질 모델을 연계한 홍수조절댐 수질 예측
학술지명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저자 정용문,이한진,김선주,황현동,윤진혁,황상철
발표일 2015-10-15

강원도 원주시 일원에 위치한 원주천 유역은 상류지역이 산악지형으로 하천유역 및 유로연장이 짧고, 하상구배가 급하여 강우 발생 후 단기간내 많은 유량이 원주천으로 유입되고 하류 도심지역은 도시 인프라 및 하천시설물 증가 등으로 원활한 홍수소통이 되지 않아 항시 홍수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실제로 ‘98, ’02, ‘06, ’10년에 집중호우로 막대한 홍수피해를 겪은 바 있으며, ‘11년에는 우리나라 연평균 강우량의 171% 해당하는 기록적인 강우(2,188㎜)가 내리는 등 홍수피해가 가중되는 경향도 보이고 있다. 이에 원주시와 K-water는 원주천 유역의 홍수피해예방을 목적으로 섬강유역종합치수계획(‘05), 댐건설장기계획(’12) 등에 원주천 유역 상류(신촌천)에 홍수조절용댐 건설을 계획하였고 현재 타당성조사 및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시행 중에 있다.
홍수조절댐은 홍수시 일시적으로 담수하여 홍수를 지체시키고, 평상시 현재와 같은 하천흐름상태를 유지하기에 저수지 수질 변화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주천댐을 사례로 홍수조절댐 운영시 댐내 수질 변화를 HSPF 유역모델과 EFDC 모델을 연계하여 예측·분석하였고, 향후 신규 홍수조절댐 환경영향평가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