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댐의 진단시 유의 사항 및 중요 사항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댐의 진단시 유의 사항 및 중요 사항
학술지명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저자 오병현,장봉석
발표일 2015-10-05

국내에서 댐의 역사는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저수지를 흙 댐 형식의 제방으로 쌓았다는 벽골제의 기록이 『삼국사기』에 남아있고, 신라 시대의 의림지, 대제지, 공검지 등의 기록도 있다. 고려 시대나 조선 시대에도 제방의 축조기록은 있으나 오늘과 같은 대규모의 댐은 1940년대 이후에 축조되기 시작했다. 1973년 소양강 다목적 댐을 시작으로 현재 16개 다목적댐이 있으며, 이 외의 발전용 댐, 농업용 댐 그리고 용수전용 댐 등 국내에는 17,570여개의 댐이 있다.
작은 규모의 댐(저수지)은  대부분 지방자치 단체(14,000여개)와 한국농어촌공사(3,300여개)에서 관리 책임을 맡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관리실태가 미흡하여 붕괴 사고 등을 접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국내 대댐의 붕괴 사고는 없었으며 사전에 조사하여 발생한 시설물의 안전상의 문제, 유지관리 차원의 댐체의 보수보강 등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댐의 진단 시에 형식별 중요 사항 및 조사 시 유의 사항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