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연구목적
- 조직문화 수준 및 구성원의 의식진단과 분석을 위한 K-water 고유의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효과적인 조직문화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조직의 일체감 형성 및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Great Work Place(GWP) 구현
2)연구방법 및 결론
- 조직구조, 리더십, 조직문화, 조직효과성을 구성하는 13개의 잠재변수, 총 81개의 측정변수(설문항)으로 구성, 구조모형방정식분석을 통한 구성 요인관계 도출, 조직문화 개선방안 제시
- 조직문화 관련 요인 중 리더십은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조직문화 향상을 위해서는 리더의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 및 리더십 강화훈련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함.
- 단기 추진전략으로 조직의 리더십 향상(특히 관계지향 리더십 및 혁신지향 리더십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도입 운영, 리더십 평가제도 개선방안 강구, 중장기 적으로는 경쟁가치모형에 의한 조직문화 유형 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조직문화 개선 노력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