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시화호 조력발전소 방류수의 거동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시화호 조력발전소 방류수의 거동특성
학술지명 추계 해양학회 저자 권의진,송치경,김영성,김수정,권효근,김기철
발표일 2015-10-01

해양레이더는 음파의 도플러효과를 이용하여 광역의 표층유동을 관측할 수 있어 미국, 일본 대만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연안감시, 인명구조, 표층순환 그리고 해류 연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설치·운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군산대,서울대,국립해양조사원에서 35개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7년까지 45(‘15년 K-water포함 44개 설치완료)개 사이트로 증설될 예정이다. 본 연구지역인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단류식 창조발전방식으로 창조시에 발전을 하고 낙조시에 방류가 이루어진다. 특히 방류량은 일평균 1.47×108 m3 으로 이는 시화호 전체 체적(2.82 × 108 m3)의 절반에 해당하여 시화호의 체적을 치환하는데 2일정도가 소요된다. K-water에서는 조력발전소 운영 시 발생하는 방류수의 거동특성을 시·공간적으로 파악하고자 2015년 6월부터 시화호조력발전소와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 방아머리지역에 42MHz용 HF-radar(CODAR) 2기를 설치하여 8km×4km 의 영역을 250m간격으로 시험운영중이다. 시화호조력발전소 전면 해역은 국가시설(LNG터미널, 인천신항) 및 제 3항로가 위치하는 등 지역적 특성 때문에 기존의 국내 HF-radar 설치지역의 관측주기보다 짧은 10분 간격으로 관측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가 국내 최초이기 때문에 자료 신뢰성문제 해결을 위해 정기적 APM(Antenna Pattern Management) 이외에 인천 신항(3km) 및 LNG터미널(3.6km) 부근에 저층계류형 ADCP 정점관측 2기, 발전소 전면 1.7km에 위치한 제 3항로 부근에 수직프로파일링이 가능한 해양모니터링부이(SMB1, INBUS type)의 표층 및 수중유속관측기 1기, 발전소 근지점(600~800m)에 저층계류형 ADCP 및 GPS부표추적방법으로 관측된 표층유속자료와 배수문(100m)의 강유속을 관측하기 위해 발전소 구조물에 설치한 비접촉식 전자파 표층유속계 1기 등 다양한 관측기법을 사용하여 광역 표층유속장의 신뢰성 검토를 수행중이다. 시화호조력발전소의 방류특성에 따른 해수유동변화를 파악하고자 매월 방류유속을 소조기의 방류량과 대조기의 방류량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으며 특히 방류수는 배수시의 조시, 바람, 방류량 등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이며 낙조시 배수량의 증가로 인해 제 3항로 부근에서 반시계방향의 회전성 흐름을 발생시킨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