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기후변화에 따른 확률 일최대유량 산정(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기후변화에 따른 확률 일최대유량 산정(Ⅱ)
학술지명 위기관리이론과실천 저자 김형산,맹승진,황만하
발표일 2015-05-29

본 연구에서는 일 단위 기반의 연최대홍수량의 빈도분석을 통하여 확률 일최대유량을 유도하고, 이를 기후변
화 시나리오에 확장하여 적용함으로써 미래 기후변화에 따르는 확률 일최대유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새로운 온
실가스 시나리오인 RCP 시나리오를 금강유역의 선정된 기상관측소로부터 추출하였으며 이를 유출모형인 SSARR
모형에 적용하여 일단위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기존 관측된 일최대유량과 SSARR 모형에 의해 산정된 일최대유
량의 계열을 구성한 후, 독립성, 동질성 및 이상치 검정을 실시하였다. L-모멘트비도에 의한 검정과
Kolmogorov-Smirnov 검정을 수행한 결과 적용된 Gumbel, Generalized extreme value, Generalized logistic,
Generalized pareto, Generalized normal 및 Pearson type 3 분포 중 Pearson type 3 분포가 타 확률분포에 비
해 적정한 것으로 검정되었다. PT3 분포의 매개변수인 척도매개변수, 위치매개변수, 형상매개변수를 L-모멘트법
에 의해 추정하고 L-모멘트법에 의해 추정된 PT3 분포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확률 일최대유량을 유
도하였으며, 금강유역 주요지점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변동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금강유역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수공구조물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RCP 시나리오, 금강유역, 확률 일최대유량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