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댐 주변 토양 습윤화 저감을 위한 배수시설의 효과 평가 |
---|
학술지명 대한지질공학회
저자 류정아,김태형,정해근,김규범
발표일 2015-03-20
|
계곡부에 댐 건설이 이루어지면 상류에 형성되는 저수지는 산지지형(지질방벽)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되어 담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지질 방벽은 저수지내 물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지질 방벽이 좁고 파쇄대가 발달하며 저수지와 댐 하류가 인접하는 경우에는 물의 외부로의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00댐 건설 이후 수십년간의 담수에 의하여 이와 같은 침투 현상이 일부 존재하여 지질방벽 외부에서 지하수위가 높게 형성되고 습윤 지대가 형성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한 바 있다. 이의 해소를 위하여 지하수위를 떨어뜨리는 저감시설을 설치하였으며 이에 따른 지하수위 저감 및 토양 습윤화 감소 효과를 평가하였다. 저감시설로는 지하수의 배출이 쉽도록 골짜기를 따라 배수설비인 유공관과 쇄석으로 된 맹암거를 시공하였다. 시설 시공 이후 지하수위는 약 1.04 m 감소하였으며, 토양수분함량은 약 0.3% 정도 감소되었다. 또한, 40개 지점에서 측정된 토양수분함량 값의 범위는 35.9%에서 22.9%로 약 13.0% 감소하여 지점별 토양수분함량 값의 차이가 크지 않고 균등해 졌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하수의 얕은 흐름이 발달하는 구간이 없어짐으로 인하여 토양내 수분 함량의 편차가 줄어들었음을 의미하며, 전반적으로 지하수위가 얕아져서 토양 습윤화가 상당 부분 해소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