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통계기법에 의한 댐 매설계기 관리기준치 수립의 적용성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통계기법에 의한 댐 매설계기 관리기준치 수립의 적용성 분석
학술지명 한국지반공학회 저자 강기천,이종욱,차기욱
발표일 2015-03-19

댐은 공사중은 물론 최초 담수기간부터 장기간에 결친 유지관리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안전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댐에서 계측관리는 필수적이다. 계측관리는 계측치에 대해 안전한 수준을 의미하는 관리기준치를 설정하고 계측치와 관리기준치와의 비교에 의해 관리하는 것이 기본이며, 관리기준치의 결정은 설계에 포함되는 많은 가정 조건이나 주변 환경조건 등을 고려하여 관리하기 쉽도록 여러 단계에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계시 가정조건과 주변 환경조건에 의해 매설계기로부터 측정된 계측치는 설계시 예측된 계측치와는 차이가 있다. 댐에서는 시험담수 및 운영기간의 계측자료를 분석하여 댐의 정상적인 범위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관리기준치를 설정한다.
  Kuperman 등(2007)은 동일 계측기로부터 측정된 계측치들이 과거와 유사한 저수위 등의 조건에서 특정 범위 내에 있다면 그 댐의 거동은 정상범위로 고려하여 경시변화 특성에 따라 슈하르트 관리도법과 선형회귀분석에 의한 방법으로 상한계와 하한계를 산정하여 관리기준치로 제시하였다. 슈하르트 관리도법은 측정값이 정규분포 또는 근사적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간극수압계, 토압계, 변위계 등 댐 매설계기에서 측정된 계측치의 경우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비대칭 분포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분포를 고려할 수 있는 박성현과 박희진(2006)이 제시한 사분위수 관리도법을 댐 매설계기 관리기준치를 수립에 적용하였으며, Kuperman 등(2007)이 제시한 방법에 의한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사분위수 관리도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