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단일 소분지에서의 지하수 홍수 취약성 지수의 분포 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단일 소분지에서의 지하수 홍수 취약성 지수의 분포 특성
학술지명 대한지질공학회 저자 김규범,배종섬,차은지,류정아
발표일 2014-11-27

일반적으로 하천수위가 상승하면 인근 지하수위도 상승하게 되어 저지대의 경우에는 습윤화
현상이 발생하며 수위차가 클 경우 지표 침수가 나타나기도 한다. 최근 국내의 대하천에 수문
구조물 건설로 하천수위가 과거보다 2~3m 높게 유지되면서, 일부지역에서 지하수위 상승 현상
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한 피해를 지하수홍수라고 정의하고 있다. 지하수위 변동에 영향을 미치
는 여러 인자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GFI(Groundwater Flood Index) 지수를 활용한 예측모형
을 도출하였으며, 구축된 data를 예측모형에 적용하여 지하수홍수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예측모
형에 적용된 지하수위 변동인자는 농경지 지표 하 수위(DTW), 지하수위(GWL), 관측정 인근
농경지 표고 ? 낙동강 수위(SL-RL), 지하수위-낙동강 수위(GWL-RL) 등 이다. 지표 농작물의 생
육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심도를 고려하여 지하수위 상승 기준점 BHL(Base High Level, 기
저고수위) 별 예측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지역 중 일부 단일 소분지에 적용하여 지하수 홍수
취약성 지수를 검토하였다. 예측모형에 사용된 지하수위는 대상지역의 지하수 자동 관측정과
일반 관정 28개소에서 계측된 자료를 사용하였고, 표고 자료는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하여 사용
하였다. 격자는 10m×10m으로 구분하였고, 크리깅을 통하여 소유역 미계측 격자의 지하수위,
표고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자료를 예측모형에 적용하여 소유역 전 격자의 GFI 값을 도출하였
다. 연구지역에 대하여 BHL 별 예측모형을 이용하여 GFI를 산정한 결과 BHL = 2.0 m에서 GFI
의 범위는 10-11 ~ 10-1이고 최대값은 남동지역에서 0.08으로 나타났다. BHL = 2.5 m에서 GFI의
범위는 10-11 ~ 104이고 최대값은 남동지역에서 5×104으로 나타나며, BHL = 3.0 m에서 GFI의
범위는 10-10 ~ 104 이고 최대값은 남동지역에서 5×104으로 나타났다. BHL 별 GFI의 분포는 남
동지역인 유역유출구 지역에서 GFI의 값이 높게 분포하고 있으며 BHL = 2.5 m와 3.0m 모형에
서 GFI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BHL=2.5m, 3.0m를 대입한 값이 유사하게 도출되며 BHL=2.0m를 적용하는 것보
다 연구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지하수 홍수 취약성 지수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