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낙동강변 충적층의 간접인공함양을 위한 수리지질 특성 평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낙동강변 충적층의 간접인공함양을 위한 수리지질 특성 평가
학술지명 대한지질학회 저자 김형수,함세영,이충모,김규범,정재열,오윤영
발표일 2014-04-21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수자원공사의 수자원연구소에서는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지속가능한 지하수 개발 시스템 구축 및 상용화” 사업을 수행하였다. 이 사업은 ‘지하수 인공함양 활용 수자원 확보기술 개발 및 적용’, 인공함양 수도공급을 위한 지하수-하천수 변동 예측 모델 개발‘, ’강변여과수 수질모니터링 및 상호 기작 규명‘, ’강변지하수 이용시설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관련 기술 개발‘, ’강변여과 현장 생태 관측 및 현장 평가 기술 개발‘, ’강변여과수 취수 효율 평가 및 설계 모델‘ 등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창원시 대산면 간접인공함양 부지뿐만 아니라 함안군 칠서면 부지에서도 간접인공함양 방식에 의해서 먹는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김해시 생림면 딴섬부지, 창녕군 길곡면 증산리 부지에서도 간접인공함양 방식의 취수장을 건설 중에 있다. 간접인공함양 방식에 의한 지하수 취수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취수부지 퇴적층의 수리지질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 대산면 간접인공함양 부지의 수리지질 및 지하수 수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창원시 대산면 부지의 상류부 퇴적층의 투수량계수는 5.55x10-3?2.38x10-2 m2/s를 보이며, 하류부에서는 1.23x10-4?2.93x10-3 m2/s를 보인다. 한편, 상류부 퇴적층의 저류계수는 4.51x10-4?1.59x10-3이고, 하류부에서는 2.00x10-4?0.456이다. 이와같이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투수량계수가 감소하고 저류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성은 퇴적층의 입도가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과 관련된다. 지하수위와 낙동강 수위의 관계를 살펴보면, 낙동강 수위 변화에 대해서 지하수위가 빠르게 반응하지만 일단 변화된 지하수위는 장시간 유지된다. 한편, 홍수기에 낙동강의 수위 상승과 함께 탁도, 질산성질소 등의 오염물질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더라도 지하수의 수질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대산면 인공함양취수 부지의 지하수 수질이 장기간 그대로 유지되는 것은 낙동강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이 강변 퇴적층을 통과하면서 침전, 흡착, 화학반응을 통하여 잘 제거됨을 나타낸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