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간격에 따른 표준강수지수와 지하수위의 주기 및 상관성 분석 연구 |
---|
학술지명 한국지하수환경토양학회
저자 김규범,하규철,윤필선,윤희성
발표일 2014-1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호우 및 가뭄 발생 빈도의 증가로 지역별 물 불균형 및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반적으로 가뭄은 농업적, 수문학적, 기상학적 가뭄으로 세부분야에 특화하여 정의되고 있으며, 각 분야의 목적에 따라 가뭄을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표준강수지수와 지하수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가 시계열 자료의 주기 및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지역으로는 과거에 가뭄이 발생한 강원도의 태백을 선정하였고, 기간은 2001년과 2009년에 가뭄의 발생시점을 포함하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1년12월31일 까지로 선정하였다. 강수량은 태백 기상관측소의 일 자료를 이용하였고, 지하수위는 국가지하수관측망 태백황지 관측소의 일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표준강수지수(SPI : Standard Precipitation Index)로 가뭄을 판단하였다(MCKee, 1995). 선행된 많은 연구에서 표준강수지수는 월평균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기와 Lag time을 일단위로 비교하기 위하여 강수량 일 자료를 이용하였다. 1, 2, 3, 6, 9, 12개월을 기준으로 표준강수지수를 계산하였고, 이 결과를 지하수위 일자료와 비교하였다. 두자료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3개월을 기준으로 계산한 표준강수지수와 지하수위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하수위와 표준강수지수의 교차상관분석 결과 Lag time 3일에서 0.42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