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낙동강 중하류 지역 충적층 지하수의 수위 변동패턴 분류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낙동강 중하류 지역 충적층 지하수의 수위 변동패턴 분류
학술지명 한국지하수환경토양학회 저자 배종섬,김덕근,김규범,김태형
발표일 2014-10-16

현재 국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지하수 관측정이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특히, 대하천변 충적 분지에 설치된 지하수 관측정을 대상으로 지하수 수위 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예비적인 분석으로서 수위 변동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변 충적층에 설치된 지하수 관측정 92개소를 대상으로 취득된 지하수 수위 변동패턴을 분류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통계적인 접근으로서 군집분석(Cluster analysis)과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적용하였다. 군집분석은 지하수 수위 자료의 유사성이나 거리에 따라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는 군집으로 분류하였고, 판별분석은 군집분석에서 분류된 군집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지하수 수위 자료는 2013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매 1시간마다 측정된 자료를 활용하여 일평균 자료로 환산한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고, 지표면 기준 지하수 심도를 보면, 군집 1은 약 9 m 이상인 고심도, 군집 2는 약 4 m에서 8 m인 중심도, 군집 3은 약 3 m 내외의 저심도에서 유사한 변동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판별분석 결과, 군집분석에서 분류된 군집의 유효성은 97.8%로 나타났다. 각각의 군집에서 군집 1과 군집 3은 100%의 판별적중률을 나타내었고, 군집 2에서 2개소 지점의 지하수 수위 자료가 오차를 나타내어 분석 결과에서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였다. 향후 연구로는 보다 장기간의 지하수 수위 관측 자료를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고 지하수 수위 변동에 영향을 주는 지형 및 지질, 수리상수, 토양특성, 지층 분포, 토지이용 등의 주요 인자와의 관계를 평가할 예정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