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하수위 지속기간이 홍수 취약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
---|
학술지명 대한지질학회
저자 정해근,차은지,김규범,이승현
발표일 2014-10-30
|
높은 지하수위 조건이 장기간 유지되면 토양 수분함량을 증가시켜 토지이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강우시의 저류량 저하로 인하여 지표 홍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지하수위 상승으로 인한 지하수 홍수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하수홍수 강도(GFI)와 고수위가 유지되는 기간(Duration of high water levels)을 함께 고려한 홍수취약성 평가 지수(FVI)가 제시되었다(김규범 외,2013). 특히 최근 대하천변 수공구조물의 건설에 따라 하천수위가 상승하고 인근 지역 지하수위도 상승함에 따라 고수위지속기간이 증가하였다. 지표와 가깝게 장기간 유지되는 지하수위는 지하수 홍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조건을 갖추고 있으므로 고수위 지속기간은 중요한 인자로 평가되어 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전역의 83개소의 지하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산정된 GFI와 FVI를 비교하여 고수위 지속기간(Durtation)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 FVI 기법의 적정성을 파악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