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낙동강 중권역별 일단위 장기유출모의 및 물수지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낙동강 중권역별 일단위 장기유출모의 및 물수지분석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금호준,강신욱,최현구,이을래
발표일 2014-10-24

최근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 수자원 개발의 한계로 인하여 신규 수자원의 확보가 어려워지고 물 부족
으로 인한 물 문제 해결을 위하여 정교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권역의 33개에서 본류에 해당하는 21개 중권역별로 장래 용도별 수요량 자료를 구축
하고 기존 및 계획되어 있는 시설을 고려한 물 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수자원 공급 가능량과 수요량에
대한 균형평가를 통해 시공간적인 물 과부족 평가하였다. 중권역의 물 수요량은 현재가 아닌 장기적인 차원
에서 미래에 예상되는 2016년의 수자원 장기 종합계획의 물 수요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물 수요는 분석 대상
유역 또는 하천 구간에서 생활, 공업, 농업용수 등 용도에 따라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이라 할 수 있으며, 용도
별로 이용 특성 등이 다르므로 이를 구분하여 우선순위를 달리하여 고려하였으며, 유역 내에 댐이나 둑 높이
기 저수지, 보등의 인위적인 유량 조절과 함께 대규모 물 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수공구조물로써
현재 대부분의 하천유역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댐 상류 유역의 자연유량으로 댐 실측유입량을 고려하며 모의
수행 기간에 해당하는 실제 방류량 과 함께 둑 높이기 저수지 및 보에서는 수위 저수량 곡선을 획득하여 사
용하였으며, 낙동강 중권역 33개에서 본류에 해당하는 21개의 중권역에 해당하는 댐 8개소, 보 7개소 둑 높
이기 저수지 30개소를 분석 과정에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