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강우의 영향을 받는 사력댐 침투수량 실측치의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강우의 영향을 받는 사력댐 침투수량 실측치의 분석
학술지명 한국지반공학회 저자 이종욱
발표일 2014-10-31

  사력댐에서 댐체를 통한 침투량은 저수위와의 상관성을 나타낸다. 댐 차수죤에서 파이핑과 같은 비정상적인 누수현상의 발생 여부는 저수위와 침투량 사이의 관계를 면밀히 분석하여 판단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댐설계기준(한국수자원학회, 2005)에 의거 댐 제체 하류측에 집수벽과 삼각웨어를 설치하여 댐 제체를 통한 침투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댐체 안전성을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이용토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한국의 주요 다목적댐에는 침투량 측정시설을 설치하여 운영관리 하고 있다. 댐체 내부에 설치된 검사통로에서 침투량을 측정하는 콘크리트댐과는 달리 대부분의 국내 사력댐은 Fig.1과 같이 집수벽과 침투수량 측정장치가 댐 하류사면 선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Fig.2와 같이 강우시에는 댐체를 통한 침투량과 강우로 인한 빗물이 혼합되어 측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사력댐의 댐수위와 침투량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실측 침투량에서 강우로 인한 빗물의 양을 제거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동아시아 몬순지역의 기후특성상 6월부터 8월 사이의 짧은 기간에 연강수량의 60% 이상이 집중된다(Lee 등, 2005). 이 시기에 저수위는 급격히 상승하여 여느 때 보다도 누수사고의 위험성은 높아져 집중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한 시기이지만 실측 침투량에 혼합되는 빗물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누수현상의 확인 및 긴급대응은 더욱 곤란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Table 1과 같이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운영 및 관리하고 있는 6개 대형 사력댐을 대상으로 디지털필터링기법으로 실측침투량에 포함된 빗물에 의한 침투량을 보정하여 댐체를 통한 순수 침투량과 댐수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