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아민 투입이 여과공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
학술지명 상하수도학회지
저자 이영주,김성수,박연정,이희숙
발표일 2014-03-20
|
고액분리 중심의 표준정수처리 공정은 약품혼화에 의한 응집/침전, 여과기작을 통하여 수중의 탁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 설계 운영되어 진다. 원수 중의 포함되어 있는 입자성 물질은 다양하며 수계에 계절별로 번성하는 조류 또한 수중의 현탁 물질로서 제거해야 할 대상물질이다. 계절별로 각기 다른 조류종의 우점은 정수처리 공정 운영에 있어서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조류 대사물질에 기인된 맛냄새 유발 물질의 처리, 조류 독소 유발 문제를 포함하여 규조류의 일종인 Synedra sp.의 다량 번성은 정수처리 공정 운영 중 특히 여과장애를 유발하는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정수처리 시설에서 원수 내 Synedra sp.의 유입시 응집제 및 전염소 등의 투입을 통한 응집/침전의 처리를 거친 후 후속 여과지로 미처리된 개체가 유입되는 경우 손실수두 발생에 따른 여과지속시간의 감소가 나타나게 된다. 감소의 정도는 유입되는 수준과 여과지 구성 및 다양한 여러 인자에 따라 차이가 유발하게 되며, 여과지의 여과지속시간이 급격히 줄어들게 되면 정수처리 시설에서는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잦은 역세척 배출수의 발생에 따른 배출수지 용량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하며, 정수 생산량 관리에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처리 효율을 증가시켜 여과지로의 Synedra sp.의 유입농도를 최대한 낮출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환경부의 수처리제로 등록되어 있는 응집보조제인 폴리아민의 사용은 실험실 규모에서는 일부 사용된 사례가 있지만, 실질적인 정수처리 공정에서 사용된 사례는 보고된 바가 없다. 실험실 규모로 Synedra sp.의 제거에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낸 폴리아민의 실공정 도입을 위해서는 최적 주입조건 결정과 처리성에 대한 평가와 여과지 및 배출수 처리공정 등 다른 공정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폴리아민 주입에 따른 Synedra sp.의 제거특성과 여과 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폴리아민 주입시 고려해야 할 인자들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