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황해 오염방지를 위한 중국 청도시 묵수하 수환경개선 방안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황해 오염방지를 위한 중국 청도시 묵수하 수환경개선 방안
학술지명 한중기술교류회의 저자 김동섭,최광순,서인석,이요상
발표일 2014-09-23

본 연구는 한-중 공동해역인 황해의 오염저감을 위하여 황해로 유입되는 중국 청도시 묵수하의 수환경 개선을 위한 단계별 및 대안별 세부 실천방안이 포함된 계획을 수립하였다. 청도시 묵수하는 최근 수십년간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해 하천환경이 급격히 파괴된 하천으로 황해의 오염원을 증가시키는 주요하천 중 하나이다. 중국 청도시 묵수하(墨水河) 유역의 종합관리계획은 2015년부터 2023년까지 단계별 3년씩 3단계로 나누고 실행계획을 수립하였다. 1단계는 2015년에서 2017년까지로 『물이 흐르는 하천 조성』을 목표로 묵수하 수질을 COD 40mg/L, NH3-N 2ㅡmg/L, TP 0.4mg/L DO 5mg/L로 설정하였으며, 정부차원의 유역 오염원관리, 하천 유지용수확보, 인공습지 조성, 하도내 수질 개선 등이 포함되어 있다. 2단계는 2018년에서 2020년까지로 『맑은 물이 흐르는 하천 조성』을 목표로 묵수하 수질을 COD 30mg/L, NH3-N 1mg/L, TP 0.3mg/L DO 6mg/L로 설정하였으며,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초기우수 처리시설 설치, 분류식 차집오수 월류수 처리시설 설치, 오수처리장 고도처리시설 도입(색도 및 COD) 등을 통해 한층 향상된 유역 오염원 관리 실행과 부영양화 등 보내 수질관리, 하상 정비, 생태하천 조성, 다양한 생물 서식 공간 창출, 수변 정비 등을 통해 생태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2021년에서 2023년까지로『생태적으로 건강한 묵수하 조성』을 목표로 묵수하 수질을 COD 20mg/L, NH3-N 0.5mg/L, TP 0.2mg/L DO 7mg/L로 설정하여 종합 관리 계획을 실현시키고자 하였다. 3단계 계획에는 하도 내 오염 저니토 준설(1,2 단계 잔여구간)을 통한 유역오염원 관리, 생태이동통로 조성. 친수공간 확보를 통한 생태기능 강화에 대한 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와 및 산업화에 의해 훼손된 도심형 하천의 건전화 및 수질개선과 수생태복원을 위한 방안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