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탄력적 하천유량관리를 위한 유량관측망 설계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탄력적 하천유량관리를 위한 유량관측망 설계
학술지명 2014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저자 남재준,박정은,김정곤
발표일 2014-05-15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 불확실성 증가와 구조적인 물확보 대책에 한계로 인하여 효율적인 물관리를 통한 최적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다. 물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언제, 얼마만큼의 물이 흘러가는지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수문관측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유량관측망의 운영목표는 이수, 치수, 환경으로 크게 구분되며, 이중 이제까지 치수 목적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물공급 계획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물사용을 위해서는 이수목적의 수문조사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현 국가수문관측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사회적 여건과 수문학적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하천유량관리 고도화를 위한 최적 유량관측망을 설계하였다. 관측지점 선정과정은 관측지점의 목적 및 목표 설정, 관측망 설계 요소 선정, 기존 관측망 평가, 잠정위치 결정으로 구성하였으며,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측지점의 목적은 홍수관리, 수자원 공급과 관리계획, 생태 및 환경, 수문설계 및 계획, 수자원 갈등 해소, 방재, 수자원 관련 연구지원, 국민 여가생활 지원의 8개로 구분하였다. 관측망 설계 요소는 기존 국가 수위유량측정망 설계시 고려했던 요소를 검토하고 현 개정된 하천법 및 관련 연구결과를 보완하여 선정하였다. 치수 측면에서는 홍수예보시스템 유역 구분을, 이수 측면에서는 하천유지유량 연구에서 사용된 하도구간 구분 및 하천수 사용량 보고지점을, 수질 측면에서는 수질오염총량제 지점 및 하수처리장 위치를 고려하였으며, 이외에도 세계기상기구에서 제시하는 수위관측소 밀도 기준과 4대강 사업 모니터링 및 자동유량측정지점 등을 고려하였다. 유역면적이 작거나 하구언이나 배수영향이 있는 지점, 인접지점의 자료를 사용할 수 있는 지점은 측정망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물수지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연유량 검?보정에 사용될 수 있는 지류 유역의 측정지점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유량계측지점 선정 프로세스를 제시하여 물관리 기초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물부족에 대비한 물관리 효율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이수기 탄력적인 하천유량관리를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