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형특성에 적합하며, 한국형 수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조사 요소기술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4대강사업 이후 준설로 인하여 하천의 수심이 깊어지고 하상이 안정되어짐에 따라 하천에서의 흐름이 매우 약한 구역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보 직상류에서의 흐름정체는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4대강 수체특성의 변화를 수질악화라는 부정적 견해로 볼지, 수자원확보 및 수변경관 조성이라는 긍정적 시각으로 해석할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실정이다. 흐름이 정체된 구간에서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녹조 발생 및 수질악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어 보 건설 이후 수질·조류 등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구간에서의 하천유속 및 유량변화의 시공간적 분석을 위한 실측 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자이로볼은 외부의 아무런 도움없이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및 지자기센서에서 취득되는 가속도, 각가속도, 지자기, 온도의 정보만을 가지고 하천에서의 흐름특성을 과학적이고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자이로볼의 성능을 확인하고 현장 실측을 통한 수위, 수온 및 수질자료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자이로볼을 통한 수체의 흐름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장 적용시 발생하는 자이로볼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문제점을 알아보고 향후 개선할 사항을 파악하였다. 또한 GUI 개발을 통하여 자이로볼에서 취득된 자료를 후처리 과정없이 데이터를 변환하고 2·3차원 그래프화 및 Google Map에 맵핑을 통한 자이로볼의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하천의 수리특성(유속, 수온, 수질 등)을 Contour와 자이로볼의 이동경로를 다중 가시화하여 상관관계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