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하천공간정보 표준 준용 방안에 관한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하천공간정보 표준 준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학술지명 2014 한국지리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저자 이은정,신형진,채효석
발표일 2014-05-02

  최근 기후변화와 4대강 살리기 사업 시행 등 변화되는 환경에 적합한 미래 대응 하천 운영 및 관리 기술의 고도화가 요구됨에 따라 하천공간정보 활용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도를 전망하여 미래에 대한 적응대책을 수립하거나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의해 새롭게 조성된 유역환경변화를 감지하고 다양한 하천공간의 관리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하천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및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표준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시스템 개발은 중요한 제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운영 중인 하천공간정보 관련 시스템을 대상으로 각 기관별 시스템의 주요기능, 제공정보, 데이터베이스 현황 등을 조사한 결과 현재 자료 측정, 축적, 품질관리는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자료의 공유 및 유통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즉, 하천공간자료를 얻기 위하여 다수의 물관련 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자료를 취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각 기관별 자료 제공형식도 다양하기 때문에 자료 취득 후 중간처리과정을 거쳐 자료를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로 인해 사용자가 자료를 취득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목적인 분석, 예측 및 보고 등의 의사결정 과정이 지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한국수자원공사, 2013).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하천공간정보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표준 데이터 모델을 개발하기에 앞서 설계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데이터 표준화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였다(Fig 1).

  먼저 KS 및 TTA와 같은 우리나라의 공간정보 관련 표준 현황과 ISO와 OGC 국제표준기구에서 개발 및 공표한 표준 현황을 조사 및 정리하고, 국내 각 기관별 하천공간정보 관리시스템을 대상으로 자료제공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천공간정보 데이터가 가장 많이 수집 및 제공되고 있는 시스템은 RIMGIS와 WAMIS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시스템에서 제공되고 있는 벡터 및 격자자료를 주요 표준화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즉, 이들 시스템을 중심으로 데이터형식,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속성을 조사 및 분석한 후 분류한 내용에 따라 준용이 용이한 표준을 결정하였는데 이는 표준 데이터 모델 구축시 하나의 새로운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기보다 기존에 구축된 시스템들을 통합 연계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분석 및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표준 준용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설정한 기준으로 표준 데이터 모델 구축시 준용된 표준 중 일부를 Table 1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공유의 극대화를 도모하고 데이터의 원활한 교환을 지원하기 위한 하천공간정보 표준화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제시된 결과를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표준화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