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보 건설 및 준설에 의한 하상환경변화 모니터링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보 건설 및 준설에 의한 하상환경변화 모니터링
학술지명 2014 한국생태환경과학협의회 정기 학술발표대회 저자 이요상,이승윤
발표일 2014-02-21

하천에 인공적으로 조성된 대부분의 보나 저수지는 유역면적이 넓고, 수체의 흐름이 늦어짐으로 인하여 유입되는 입자성물질 중 많은 양이 퇴적되며, 내부적으로 생성되는 유기물의 침전이 더해져 일반적으로 자연상태 보다는 많은 퇴적이 일어나게 된다. 보에서 침전물의 물리적 축적은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잠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 점에서 하천 환경변화에 대응한 퇴적물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퇴적물은 저수지나 하구 등에서 주로 연구와 조사가 이루어져 왔으나 앞으로는 하천에서 퇴적물 관리의 필요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낙동강에 건설된 보를 중심으로 퇴적물 조사를 실시하여 이화학적 성질 및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는 낙동강에서 준설이 이루어 진 후 하상이 안정화 되지 않은 상태에서 홍수기를 전후하여 시료가 채취되었으며, 퇴적물에 대한 특성분석은 물리적 성상과 화학적 성상 20항목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각 지점별 화학적 성상분석결과에서 하천·호소 퇴적물 평가기준(환경부예규 제575호, 2012.4.10.)과 비교시에도 일부지점의 T-N을 제외한 대부분의 항목에서 기준치 이하의 농도였으며, 홍수기 전·후의 유의미한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입도변화에 있어서 특별한 경향은 확인 할 수 없었으며, 일부 지점에서 표층 퇴적물의 색상이 암갈색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낙동강 수계의 모든 보가 건설된 후, 매년 일정한 시기를 택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하여 이런 장기적인 모니터링에 의해 수집된 data base를 이용해 퇴적물의 특성 변화를 예측 및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