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관측이란 지하수를 보전?관리하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정기적 또는 장기적으로
지하수위, 수질 등 부존된 지하수 특성의 상태와 변화하는 추이를 관찰하여 측정하는 행위를
말한다. 지하수를 관리함에 있어 지하수 장해에 대한 원인분석과 대책수립을 위해서는 관측정
을 적절하게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지하수위 변동, 배경수질 등의 필수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지하수 관측을 실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관측 지역 대수층의 수리수문학적 특성 등을 파
악하기 위해서는 관측 목적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지점에 관측정을 설치
운영해야 한다. 영산강 주변 충적층 지역인 나주시 다시면 및 왕곡면 일대의 지하수위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수 자동관측정 설치를 계획하였다. 이에 지하수위(DTW) 및 하천수위에
대한 현장조사와 지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관측정 설치 최적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조사지역을
구역별로 200 m×200 m 격자를 구성하였고 지형등고선도 및 등수위선도를 작성?분석하여 그
결과를 각 격자에 할당하고, 그 면적에 따른 점수를 부여하고 영향정도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
하여 최고점을 받은 구역부터 우선 대상지로 선정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