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루어진 수공구조물 건설 및 하천 정비 사업은 일부 하도 구간의 하천수위를 상승시켰
고 하천바닥 굴착을 병행하여 수자원 총량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하천수위의 상승은 주변 제내
지에서의 지하수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국토해양부(2010)에서 발간된 “보 건설에 따른
지하수 영향분석을 위한 관측정 설치 및 운영방안 수립” 보고서에 의하면, 향후 변동이 예상되
고 관리가 필요한 지점에 지하수 관측정을 설치하도록 계획하였고 현재 일부 지점에서 관측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 수위의 상승으로 하천에 인접한 제외지내의 지하수위 상승
이 동일한 수준으로 진행될 것이며, 이와 같은 상승량은 강변여과수 개발 시 더 많은 양의 취
수가 가능하게 한다. 즉, 수공구조물 건설 및 하천 정비 사업으로 인한 굴착으로 하천수위가 깊
어지고 상승하는 하천 인접 지역에서는 강변여과 개발 시 추가적인 수위 강하가 가능해짐으로
써 더 많은 양의 취수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식을 활용하여 강변여과 개발 가능지역에 대한 하천 수위 상승 전?후의 강
변여과 개발 가능량을 산정하고 평가하여 향후 대하천 변 강변여과수 개발 및 물부족에 대비한
수자원 확보 방안 마련 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