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홍수라는 주제로 지하수위 변동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 Dresden 지역에서의 2002년
홍수 기간 동안 평균 고지하수위 이상의 지하수위, 지속기간, 지표면과 최고치 지하수위와의 차
이, 지하수위 상승 경사등을 고려하여 지하수 홍수 강도를 제시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Sommer, T. & Ullrich, K., 2005). 이 연구에서 지하수 홍수의 강도라고 표현된 I는 지하수위
상승 시 경사율(tan α)과 지하수위 최고치와 지표면 사이의 최소 차이(지하수 표면 차이 -
GSDmin)를 의미한다. 또한 지하수 홍수 강도 및 분석된 측정 지점의 지하수 홍수의 지속기간
을 토대로 지하수 위험 가능 지역을 그리드에 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변동 인자 도출을 위한 지하수위 Index로 독일의 경우와 같이 지하
수 홍수 강도 I를 도출하였다. 호우기를 포함하고 수위 변동의 추세가 비교적 적은 기간을 분석
기간으로 설정하였으며 독일과 우리나라의 기상 및 수문 현황 조건이 다른 것을 감안하여 평균
고지하수위 산정을 기간별 지하수위 분포의 percentile을 설정하여 구분하였다. 도출된 대표 평
균 고지하수위를 기준으로 호우기 지하수 홍수 인자 (GFI, Groundwater Flood Intensity)를 산
정하고 공간적인 도시화와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