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천 장기적 하상변동 관측 및 모형 적용 |
---|
학술지명 수자원학회 정기학술대회
저자 장창래,황수덕,황만하,이상진
발표일 2013-05-24
|
상류에서 다양한 목적의 수공구조물이 계획될 때 하류 하천의 하상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향후 하천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보존, 관리하는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내성천은 하상은 모래로 구성되어 있고, 저수로에서 식생의 성장이 거의 없이 모래사주의 형상이 변하면서 그 형상을 유지해 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성천 하류인 회룡포에서는 고정사주(point bar)가 잘 발달되었으며, 저수로에서 사주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아울러 하상변동 예측모형을 적용하여 주요지점의 하상변동 영향을 분석하였다. 하류로부터 약 51km 지점에서는 10년 후 횡단면 하상고의 변화를 보면 좌안에서는 적은양의 퇴적이 발생하고 있고 우안에서는 세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하류에서부터 약 27km의 지점에서 횡단면 하상고의 변화를 보면 좌안에서는 큰 변화는 없고 우안에서 국부적 퇴적이 발생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하상평형상태를 나타내며 안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인 하상변동을 예측하여 홍수피해 대책 마련과 효율적인 하천관리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