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낙동강 지류하천에 설치된 어도의 효율성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낙동강 지류하천에 설치된 어도의 효율성 분석
학술지명 한국환경과학회 저자 박제철,김동섭,성진욱,김재옥
발표일 2013-11-08

낙동강 해안수계 하천 324개에 설치된 보는 2,968개, 어도는 344개로 어도 설치율은 12%로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거제도에서 23%로 가장 높았고, 남해도에서 2%로 가장 낮았다. 하천설계기준에 따라 어도형식을 분류한 결과 표준형 풀형식 29%, 표준형 수로형식 33%, 표준형식 이외의 어도가 38%로 전체 어도의 약 60%가 표준형 어도로 분류되었다. 풀형식 어도를 세부적으로 분류한 결과 일반형 계단식 48개로 가장 많았고, 버티컬 슬롯식이 2개로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류 이동 비율을 분석한 결과 낙동강 해안수계 전체에서 23%로 나타났다. 수영강에서 32%로 가장 높았고, 형산강에서 1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천의 어도 설치율과 어류 이동 비율은 서로 상관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각기 계산방법이 다른 원인도 있지만, 하천에 어도를 설치 할 때 설치 지역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횡구조물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어도를 설치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하천의 어도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산관리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어도형식과 어도의 설치지역을 선정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어도의 설치지역 선정 시 각 하천의 어류 이동 비율 분석 결과를 활용하면 최소한의 어도 설치로 최대의 효율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