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속측정기기의 개발 관련하여 최근 국제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측정기기가 측정한 값의 불확실도에 대한 산정기준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고 있으며, 국제기구, 정부기구 및 학술단체에서 산정기준을 정립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홍수기에 사용하고 있는 봉부자의 여러 가지 단점(소요시간, 인력, 측정편리성 등)을 개선하여 자체 개발한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사용하고 있으나, 수문자료 품질 척도인 "불확실도 산정기준"이 없어 국가수문조사용 유속계로 인정받는데 한계점이 있다. 타 기관의 경우 불확실도 산정기준이 국제기준(ISO, 1993)에 제시되어 있는 "봉부자"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 갖는 불확실도를 산정하고 있다. 이에 전자파표면유속계 불확실도 산정기준을 국제기준에 따라 정립하여 측정값이 갖는 불확실도를 제시하는 것이 절실하다. 전자파표면유속계로 측정한 유속 및 유량의 총불확실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면유속 측정시 각 오차 성분인자에 대한 규명 및 이들의 영향정도 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 유속에 영향을 미치는 오차 성분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유속측정시 오차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유속산정식을 검토한 결과 전자파표면유속계로 측정한 유속의 정확도는 도플러주파수와 물표면에 대한 전자파 발사각에 의해 결정됨을 파악하였다. 이에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이용한 유속측정시 오차발생 인자를 크게 도플러 주파수와 관련된 성분, 전자파의 발사각과 관련 있는 성분, 전반적으로 유속값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각 성분별로 오차발생요인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플러 주파수와 관련된 오차요인에는 시스템 자체의 도플러주파수로 인한 요인, 강우강도에 의한 요인, 진동의 영향, 고압선 및 자기장의 영향의 네 가지 요인이 있었고, 두 번째, 전자파의 발사각과 관련 있는 오차요인에는 유속측정시 입력값인 수직각의 각도측정오차, 설정수직각에 따른 유속측정시의 영향, 안테나의 빔폭에 의한 발사각도의 불확실도 등 세 가지 요인, 셋째, 전반적으로 유속값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으로 유속의 빠르기에 따른 측정오차, 측정위치 인자, 측정시간에 따른 요인, 및 Filtering 등의 네 가지 등 총 11가지 요인을 규명하였다.